연봉 3000만원 실수령액, 연봉계산기로 계산하면 얼마일까요
- 생활 Tip
- 2019. 12. 3. 12:00
대학 졸업 전 취업을 하기 위해 입사하고 싶은 회사에 대해 여러 가지 정보를 찾게 됩니다. 회사의 위치나 규모 그리고 전공과 관련된 직종 등에 대해 조사하지만 특히 연봉에 대해서도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는데요. 하지만 힘들게 입사 후 첫 월급을 받았더니 기대했던 월급과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받은 월급은 연봉의 실수령액이 됩니다. 연봉에서 4대 보험과 함께 세금이 제외된 금액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친구들과 오랜만에 만나 연봉과 실수령액에 대해 이야기하다 보면 같은 연봉이라도 실수령액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회사마다 연봉을 구성하는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연봉 3,000만 원의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연봉 계산기로 계산을 해 보려고 하는데요. 실수령액 계산은 기본적인 계산을 하기 때문에 개인이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계산된 실수령액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연봉 3000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기 전에 실수령액 계산의 기준과 근거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수령액 공제 기준
▶ 4대 보험
- 국민연금 : 기준소득월액의 9%(연금보험료율) 중 절반인 4.5%
- 건강보험 : 보수월액의 6.46% 중 절반인 3.23%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의 8.51%
- 고용보험 : 과세금액의 0.8%
- 산재보험 : 업종에 따라 보험료율이 다름.
▶ 세금
- 소득세 : 국세청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연봉 3000 실수령액
연봉 3,000만 원일 경우 사람인의 연봉계산기로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 연봉 3,000만 원일 경우 12개월로 나누면 월 250만 원을 받지만 4대 보험과 세금을 제외한 후의 월 예상 실수령액은 약 225만 원이 됩니다. 이때 부양하는 가족은 없고 비과세는 10만 원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하였습니다.
▲ 이번에는 똑같은 연봉 3,000만 원이지만 결혼하여 20세 이하 자녀가 1 명 있고, 비과세를 10만 원이라고 가정하여 월 예상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았더니 약 228만 원으로 부양가족이 없을 때 보다 실수령액이 약 2만 5천 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번에는 연봉 4200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았는데요. 공제하기 전 월 350만 원이라면 공제한 후의 월 예상 실수령액은 약 306만 원이라는 것을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급에서 약 45만 원을 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봉 3000 실수령액과 연봉 4200 실수령액을 사람인의 연봉 계산기로 비교 계산해 보았는데요. 이 외에 연봉 2500, 2800, 4500 등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면 공제액을 연봉에서 퍼센트로 계산하기 때문에 연봉이 높을수록 공제액도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이 높더라도 생각보다 실수령액이 적은 것을 확인하니 확실히 직장인들은 유리지갑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열심히 노력한 만큼 연봉이 높은 직장에 취업을 하고 몸값을 높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 이런 글도 있어요!
'생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방접종 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간단하고 쉽네요 (0) | 2019.12.05 |
---|---|
요양원 등급 파악하기 위한 요양원 검색 방법 (0) | 2019.12.04 |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등기열람 발급하는 간단한 방법 (0) | 2019.11.29 |
대법원 법원경매정보 조회 후 원하는 경매물건 검색하기 (0) | 2019.11.25 |
KT 선택약정 할인으로 25% 할인 신청 방법 (0) | 2019.11.18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