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의 테이블 위 냅킨, 과연 안전한가요?
- 생활 Tip
- 2019. 5. 28. 21:30
식당에 가면 많은 사람들이 테이블에 냅킨을 깔고 그 위에 수저를 올려놓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는 매너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테이블이 비위생적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행동입니다.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식당 테이블은 많은 세균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종업원들이 바쁘게 테이블을 청소하다 보면 생각만큼 깨끗하지 않을 때도 많기 때문입니다.
식당 테이블 위에 깐 냅킨의 안전성
형광증백제와 포름알데히드의 위험성
냅킨을 테이블 위에 깔고 그 위에 수저를 올려놓는 행동이 위생적일 것 같지만, 사실 냅킨 자체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일부 냅킨에는 형광증백제나 포름알데히드 같은 유해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형광증백제는 피부에 닿으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입으로 들어갈 경우 소화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암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는 기관지염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냅킨 제조 공정의 위생 문제
냅킨에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제조 공정에서 소량의 먼지가 묻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먼지는 코나 기관지 점막과 같은 호흡기를 자극하여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저를 냅킨 위에 올려놓는 것은 생각만큼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재사용 냅킨의 위생 문제
일부 식당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천으로 된 재사용 냅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냅킨은 세탁을 거쳐 재사용되지만, 완전히 소독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세균 번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개인 휴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위생적인 수저 사용 방법
물티슈로 테이블 닦기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제공되는 물티슈로 테이블을 닦은 후 그 위에 수저를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물티슈 역시 화학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물티슈로 닦아낸 후에도 테이블 표면에 남아 있는 세균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저받침대 사용하기
가장 위생적인 방법은 수저받침대에 수저를 올려놓는 것입니다. 수저받침대는 수저가 테이블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저받침대가 없는 경우라면 개인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작은 휴대용 수저받침대를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접시를 이용한 수저 놓기
수저받침대를 제공하지 않는 식당이라면 개인 앞에 놓인 접시 위에 수저를 올려놓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테이블과 수저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접시 위에 올려놓은 수저는 식사 도중에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식사 후 설거지도 간편합니다.
외식 시 개인위생 관리의 중요성
외식을 하다 보면 식당에서 제공하는 수저와 테이블의 위생 상태가 걱정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휴지나 휴대용 물티슈를 준비해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외식을 하기 전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식사 전후로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올바른 손소독제 사용법 및 주의사항
겨울에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외출 후, 비누로 손을 청결하게 씻는 것은 기본 상식이 되었습니다. 꼭 겨울이 아니더라도 여름에도 위생과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 여름에 깨끗하지 않은
tempholiday.tistory.com
마치며
식당에서 외식할 때, 테이블과 수저의 위생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테이블 위에 냅킨을 깔아 수저를 놓는 것보다는, 수저받침대나 접시를 이용하는 것이 건강에 더 좋습니다. 작은 실천 하나로도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만큼, 위생적인 식사 매너를 지키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식사 전후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 건강한 외식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도움 되는 정보
식중독 증상 대처 방법 및 예방
장마가 지나고 고온 다습한 여름에 증가하는 질병이 있습니다. 뉴스를 보면 단체 급식으로 인해 다수의 사람들이 걸리기도 하는데요. 바로 식중독입니다.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은 다양
tempholiday.tistory.com
장염 증상 원인 및 빠르게 낫는 법
장염은 겨울에도 걸릴 수 있지만 특히 여름이 시작되면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장염의 원인인 바이러스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인데요. 장염에 걸리면 계속되는 설사 등으로 인해 몸이
tempholiday.tistory.com
'생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역알뜰교통카드 30%+α 교통비 절약하기! (0) | 2019.06.06 |
---|---|
면도날 교체주기 늘리는 방법(feat. 면도날 클리너) (0) | 2019.06.05 |
여권발급 시 필요서류 및 수수료 (0) | 2019.05.27 |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찾기로 대기시간 알아보기 (0) | 2019.05.24 |
농협 무료운세, 신년운세, 평생운세 바로가기 (0) | 2019.05.24 |
이 글을 공유하기